전세 보증금 미반환 사례가 증가하고, 금리도 계속 인상되면서 월세를 찾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엔 월세 계약 비중이 임대차 거래 가운데 절반을 넘어섰고, 가격도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기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동대문구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전용면적 84㎡ 전세 거래는 6건 이뤄졌지만, 월세 거래는 9건 성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요즘 들어 부쩍 전세보다 월세를 찾는 사람이 더 많아진 겁니다. <br /> <br />[공인중개사 (서울 동대문구) : 요즘에는 (전세자금 대출) 이자가 뭐 4% 후반에서 5% 정도 되니까 그 돈이면 월세 주고 말지 뭐하러 골치 아프게 가서 서류 내고 뭐 내고 전세자금 대출 뭐하러 받아요. 안 받지.] <br /> <br />8월 전국 임대차 거래량 22만6천 건 가운데 월세는 11만9천 건으로, 52%를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상반기 3만 건이던 월세 거래는 올 상반기 만 건 이상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임대차 계약에서 월세 비중이 늘어나면서 월세 가격 역시 꾸준하게 오르고 있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 주택 월세가격지수는 지난 6월부터 매달 상승하고 있는 반면, 같은 기간 전세가격지수는 내림세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임차인 인식도 2년 전과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한 조사를 보면, 임차인 42%가 월세를 선호한다고 답했는데, 2년 전에는 17%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가 올라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전세자금 대출 이자보다 월세가 부담이 덜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진유 / 경기대학교 도시·교통공학과 교수 : 전·월세 전환율이 지금 일부 지역에서 전세 대출 이자율보다 낮아지는 이런 현상이 월세를 촉진하는 그런 현상이고, 또한 앞으로도 이제 금리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전세 사기로 인한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가 급증하는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함영진 / 직방 빅데이터랩장 : 소형 면적의 아파트나 연립·다세대의 경우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80%를 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전세금 미반환 사기 같은 목돈 떼일 부담이 전세보다 월세가 낮은 편입니다.] <br /> <br />경기 침체로 목돈을 투자할 곳이 마땅치 않은 만큼 임대인 입장에서도 현금을 바로 확보할 수 있는 월세를 꺼릴 이유가 없다는 평가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: 월세 가속화 현상은 내년까지 지속됨은 물론 집주인과 세입자의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기성 (choiks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00322234704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